신군의 역학사전

[Python] 문자열 포맷팅(String Formatting) : F-String Formatting 본문

Python/Basic Grammar

[Python] 문자열 포맷팅(String Formatting) : F-String Formatting

긔눈 2024. 6. 10. 12:00
반응형

문자열 포맷팅(String Formatting)

문자열 포맷팅 기법이란, 문자열 내에 변수의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형식에 맞게 문자열을 변환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문자열 포맷팅 기법엔 여러 종류가 있지만, 해당 게시글에서는 최근에 주로 활용이 되는 F-String Formatting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정리하겠습니다.

 

나중에 시간여유가 될 때, 나머지 방법론들도 업데이트 해두겠습니다.

 

F-String Formatting

f-string은 문자열 리터럴 앞에 'f'또는 'F'를 붙여 사용하는 문자열 포맷팅 기법으로, 중괄호안에 변수나 표현식을 삽입하여 문자열을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가장 최근에 나온 문자열 포맷팅 기법으로 굉장히 직관적이라, 사용하기 매우 편리합니다.

 

기본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for i in range(5):
	print(f'{i}th iteration!')

 

기본적으로 문자열은 print함수 내에 따옴표 안에 집어넣어 출력해줄 수 있는데, 따옴표 앞에 'f' 또는 'F'를 붙여주면 변수나 표현식을 집어넣어줄 수 있게됩니다.

 

여기서 i는 반복문 내에서 유효한 변수로, i라는 문자열이 아닌 i라는 변수에 저장된 값을 불러오고 싶을 때는 문자열 포맷팅 기법을 활용해야합니다.

 

 

출력결과를 보면 좀 더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합니다. 이처럼 F-String은 가독성이 좋고 직관적이라는 장점 덕분에 최근 가장 널리 활용되는 포맷팅 기법입니다.

 

문자열 출력기능에 대해 처음 공부했던 내용은 %포맷팅 이었는데, 문자열 내에 변수를 출력하기 위해서 %d, %c 등으로 먼저 받아주고 이후에 변수 값을 넣어주고 했던 것과 비교해보면 문법이 꽤나 간결해졌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