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it
- 파이썬
- reference manager
- CAD
- ppt
- simulink
- 파워포인트
- 매트랩
- PEMFC
- 군집화
- Desktop
- Fusion 360
- matlab
- 비지도학습
- github
- 클러스터링
- matplotlib
- 포스코인턴
- 스틸브릿지
- 시뮬링크
- 기계공학
- 모깎이
- 연료전지
- 윈도우
- 머신러닝
- Python
- 포스코
- mendeley
- 멘델레이
- 열역학
- Today
- Total
목록Mechanical Engineering (28)
신군의 역학사전
1. 개요열역학을 처음 공부하면서 새롭게 정의하는 물리량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엔탈피는 그 중 하나인데요, 어떻게 보면 굉장히 추상적입니다. 저는 무엇이든 물리적인 의미에 대해서 꼭 이해를 하고 넘어가는 편이라, 엔탈피 역시 그 물리적 의미에 대해 고민을 꽤나 해봤었습니다만, 제가 참고했던 Textbook에는 "U+PV라는 항을 자주 사용하니 이를 묶어 엔탈피라 부르겠다." 정도로만 설명하고 넘어가더군요. 실제로 학부 수업때도 개방계(Open System)에서의 열역학 1법칙을 Construct하는 과정에서 U+PV 항이 자주 나오니, 새로운 물리량으로 정의하자 정도로만 언급하고 넘어가긴 했었습니다. 그래서 당시엔 추상적으로 "에너지를 표현하는 여러 물리량 중 하나" 정도로만 받아들였던 것 같습니다. 그..

이번 포스팅에서는 PVT 선도와 함께 상변화, 건도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가진 Moran's Textbook 기준으로 Chap.3의 내용이 되겠네요. Chap.3의 경우, 여러 기초 개념들에 대해 정립하는 챕터인지라, 여러번 끊어가게 될 것 같습니다. 차후 열역학 1,2법칙과 열역학적 사이클을 공부해가면서, 작동유체(Working Fluid)로 증기(Vapor)와 공기(Air) 그리고 기타 여러 냉매(Refrigerants)들을 만나게 됩니다. 이때 이 작동유체들의 상(Phase)에 따라 상태량(Properties)이 달라지기 때문에, 상(Phase)이 무엇인지 한번은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1. 상(Phase)과 순물질(Pure Substance)상(Phase)이란, 물리적, ..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너지, 일의 개념과 함께, 밀폐계에서의 열역학 1법칙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열역학 1법칙은 에너지 보존법칙으로, 에너지와 일 & 열의 관계를 서술하는 법칙입니다. 따라서, 에너지, 일, 열이 무엇인지에 대해 먼저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1. 에너지 (Mechanical Concepts of Energy)(1) 에너지 (Energy)에너지(Energy)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반응의 경로에 독립적인(Path Independent) 상태량(Property)입니다. 또한, 열역학에서 가장 중요한 상태량(Property)이라 할 수 있는데, 기계공학전공에서 배우는 열역학의 주 초점이 '얼만큼의 일(Work)을, 얼만큼의 효율로 할 수 있느냐' 기 때문이죠. 에너지 ..
0. 들어가기에 앞서. . .열역학(Thermodynamics)라는 과목은, 재료공학, 화학공학, 기계공학, 물리학과, 대기과학과 등 다양한 이공계열 학과에서 배우는 과목이지만, 학과별로 다루는 내용이 다 다릅니다. 저는 기계공학을 전공하였고, 당연히 앞으로 진행될 포스팅은 [기계열역학] 과목의 내용을 정리합니다.[기계열역학]에서 주로 다루는 내용은, 열역학1,2법칙과 열역학적 싸이클(Cycle)로, 대부분의 기계공학과에서 한학기를 할애하여 해당 내용을 학습합니다. 열역학의 후반부(2학기 과정)에서는 엑서지(Exergy)와 Multicomponent Substance, 그리고 연소(Combustion)에 대해 배우는데, 저희 학교는 [열역학2]가 졸업 필수과목이 아닌지라, 수강하지 않는 학우분들이 더 많..